맨위로가기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3호선 및 일산선에서 운행되는 직류 전용 전동차로, 1995년부터 2024년까지 현대정공, 현대로템,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다. 1세대는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도입되어 2024년 6월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2세대는 2022년, 3세대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도입되어 현재 운행 중이다. 1세대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및 4000호대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2, 3세대는 신규 설계를 적용하여 실내 디자인과 기술적 특징에 변화를 주었다. 2024년 6월까지 16개 편성 160량의 1세대 차량을 모두 교체할 예정이었으며, 2023년 8월부터 2024년 6월까지 1세대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진산전의 철도 차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는 서울 4호선에서 운행되며 VVVF 인버터 제어 방식과 스테인리스 차체를 최초로 채용하고 볼스터리스 대차와 LED 전광판 형태의 차내 행선 안내 게시기를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 현재 노후 차량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이며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에서 운행된다.
  • 우진산전의 철도 차량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경전철 차량으로, 검단오류역부터 운연역 구간을 운행하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차로 37편성, 2021년에 6편성이 추가 도입되어 제3궤조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 지축차량사업소
    지축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및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수도권 전철 3호선과 4호선 폐차 관리, 3호선 전동차 일부를 관리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차량기지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8대를 관리하며, 수서역과 연결선으로 이어져 입·출고 검수관리를 수행한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대체 및 경량화,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히타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140km/h급 준고속 전기 동차로, 현재 28량이 강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여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일부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2013년부터 ITX-새마을 특급열차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이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한다.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3000계
차량 이름한국철도공사 3000계 전동차
회사 색상#000099
양수10
제작사현대모비스
현대로템
우진산전
비고서울교통공사의 수탁 관리를 받고 있다.
성능
기동 가속도3.0
설계 최고 속도110
감속도 (통상)3.5
감속도 (비상)4.5
편성 정원1,048명 (입석) + 528명 (좌석) = 1,576명
크기
전체 길이20,000
전체 폭3,200
전체 높이4,480
차체 폭3,120
차체 높이3,750
바닥면 높이1,150 mm
높이~
편성 중량342.8 t
기술 사양
궤간1435
구동 방식WN 드라이브
전기 방식직류 1,500V
주 전동기삼상 교류 농형 유도 전동기
미쓰비시 전기 MB-5052-A형 (1차차)
현대 로템 (2차차)
우진산전 (3차차)
모터 출력200 kW (지속 정격)
모터 출력 (1시간 정격)230 kW
편성 출력230 kW × 20 = 4,600 kW
제어 방식GTO 사이리스터소자VVVF 인버터 제어 (1차차)
IGBT소자VVVF 인버터 제어 (2, 3차차)
제어 장치미쓰비시 전기 MAP-204-15V42 (1차차)
현대 로템 (미쓰비시 전기 기술 공여) (2차차)
우진산전 (미쓰비시 전기 기술 공여) (3차차)
기어비16:101 = 1:6.31 (1차차)
제동 방식직류 회생 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보안 장치ATC (전철선 구간, 지하철선 구간)
운행 정보
용도통근형 전동차 (3호선 직결 운행용)
MT비5M 5T
영업 최고 속도ATC 구간 80
사용량16개 편성 160량
운영 회사한국철도공사
생산 정보
제작 연도1995년 8월 ~ 1997년 9월 (371~386)
2022년 7월 ~ 2023년 1월 (387~394)
2022년 12월 ~ 2024년 4월 (368~370, 395~399)
생산량32개 편성 320량

2. 역사

1996년 1월 일산선 개통과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위해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도입되었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와 유사한 사양으로 제작되어 기존 서울 지하철 노선과의 호환성 및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였다. 직류 1,500V와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를 사용하므로 직·교류 겸용차량은 필요하지 않았다.

차량 검수 및 운용은 서울교통공사에 위탁하여 한국철도공사는 별도 차량기지 건설 없이 지축차량기지 확충만으로 부품 공통화 등 효율성을 높였다. 차량 번호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 중복을 피하고자 3071부터 부여되었고,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는 3070호대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여러 차례 설비 변경을 거쳐 도입되었으며,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 1세대(1995~1997년): 현대정공에서 제작, 16개 편성(371~386편성) 도입. 일본 미쓰비시 전기인버터 장치 사용. 2022년부터 2024년 6월까지 노후화로 폐차.
  • 2세대(2022~2023년): 현대로템에서 제작, 8개 편성(387~394편성) 도입. 행선 안내기 등 개선, 객실 좌석 및 차내 LCD 표출 방식 변경.
  • 3세대(2022~2024년): 우진산전에서 제작, 8개 편성(368~370, 395~399편성) 도입. 일본 미쓰비시 기반 우진산전 IGBT 장착, 알루미늄 차체 적용.


각 세대별 도입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style="background-color:#ccc; width:6em;"|colspan="11" |
호차12345678910제작년도차량 형태
형식3000호대3100호대3200호대3300호대3400호대3500호대3600호대3700호대3800호대3900호대
구분TcM'M'TM'T1TM'M'Tc
탑재 기기SIV,CP,BTVVVFVVVFVVVFSIV,CP,BTVVVFVVVFSIV,CP,BT
차량 번호30713171327133713471357136713771387139711995년1차분
3072317232723372347235723672377238723972
3073317332733373347335733673377338733973
3074317432743374347435743674377438743974
3075317532753375347535753675377538753975
3076317632763376347635763676377638763976
3077317732773377347735773677377738773977
30783178327833783478357836783778387839781996년
3079317932793379347935793679377938793979
3080318032803380348035803680378038803980
3081318132813381348135813681378138813981
3082318232823382348235823682378238823982
3083318332833383348335833683378338833983
30843184328433843484358436843784388439841997년
3085318532853385348535853685378538853985
3086318632863386348635863686378638863986
30873187328733873487358736873787388739872022년2차분
3088318832883388348835883688378838883988
3089318932893389348935893689378938893989
3090319032903390349035903690379038903990
3091319132913391349135913691379138913991
3092319232923392349235923692379238923992
3093319332933393349335933693379338933993
30943194329433943494359436943794389439942023년
30953195329533953495359536953795389539952022년3차분
30963196329633963496359636963796389639962023년
3097319732973397349735973697379738973997
3098319832983398349835983698379838983998
3099319932993399349935993699379938993999
3068316832683368346835683668376838683968
3069316932693369346935693669376938693969
3070317032703370347035703670377038703970




2. 1. 도입 배경

1996년 1월 일산선 개통과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위해 도입되었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와 유사한 사양으로 제작되어 기존 서울 지하철 노선과의 호환성 및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였다. 직류 1,500V와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를 사용하므로 직·교류 겸용차량은 필요하지 않았다.

차량 검수 및 운용은 서울교통공사에 위탁하여 한국철도공사는 별도 차량기지 건설 없이 지축차량기지 확충만으로 부품 공통화 등 효율성을 높였다. 차량 번호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 중복을 피하고자 3071부터 부여되었고,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는 3070호대로 불리기도 한다.

2. 2. 차량 세대별 도입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1호선에서 운행되던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4호선에서 운행되던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설비 변경을 거쳐 도입되었다.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의 스테인리스 차체를 사용하며, 기본 사양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1차분과 동일하지만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로 높다. 한국철도공사 구간을 운행하지 않아 지하철 기준의 직류 설비만 탑재하고 있다.

차량 번호는 당시 3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3071부터 부여되었다. 이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3070호대로 불리기도 한다. 차량 검수는 모두 서울교통공사에 위탁한다.

3호선과 일산선 전 구간이 직류 전철화 구간이므로 전기 방식은 모두 직류이며, 교류 전철화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다만 2차분과 3차분은 교직류 겸용 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두었다.

1세대(1995~1997년)는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16개 편성(371~386편성)이 도입되었고, 일본 미쓰비시 전기인버터 장치를 사용했다. 2022년부터 2024년 6월까지 노후화로 인해 순차적으로 폐차되었다.

2세대(2022~2023년)는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8개 편성(387~394편성)이 도입되었다. 행선 안내기 등이 개선되었고, 객실 좌석 및 차내 LCD 표출 방식도 변경되었다.

3세대(2022~2024년)는 우진산전에서 제작한 8개 편성(368~370, 395~399편성)이 도입되었다. 일본 미쓰비시 기반 우진산전 IGBT가 장착되었으며,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되었다.

각 세대별 도입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colspan="11" |
호차12345678910제작년도차량 형태
형식3000호대3100호대3200호대3300호대3400호대3500호대3600호대3700호대3800호대3900호대
구분TcM'M'TM'T1TM'M'Tc
탑재 기기SIV,CP,BTVVVFVVVFVVVFSIV,CP,BTVVVFVVVFSIV,CP,BT
차량 번호30713171327133713471357136713771387139711995년1차분
3072317232723372347235723672377238723972
3073317332733373347335733673377338733973
3074317432743374347435743674377438743974
3075317532753375347535753675377538753975
3076317632763376347635763676377638763976
3077317732773377347735773677377738773977
30783178327833783478357836783778387839781996년
3079317932793379347935793679377938793979
3080318032803380348035803680378038803980
3081318132813381348135813681378138813981
3082318232823382348235823682378238823982
3083318332833383348335833683378338833983
30843184328433843484358436843784388439841997년
3085318532853385348535853685378538853985
3086318632863386348635863686378638863986
30873187328733873487358736873787388739872022년2차분
3088318832883388348835883688378838883988
3089318932893389348935893689378938893989
3090319032903390349035903690379038903990
3091319132913391349135913691379138913991
3092319232923392349235923692379238923992
3093319332933393349335933693379338933993
30943194329433943494359436943794389439942023년
30953195329533953495359536953795389539952022년3차분
30963196329633963496359636963796389639962023년
3097319732973397349735973697379738973997
3098319832983398349835983698379838983998
3099319932993399349935993699379938993999
3068316832683368346835683668376838683968
3069316932693369346935693669376938693969
3070317032703370347035703670377038703970




2. 2. 1. 1세대 (1995년 ~ 1997년)

현대정공에서 제작되었으며, 총 16개 편성(371~386편성)이 도입되었다. 미쓰비시의 VVVF-GTO 제어 방식을 채택했다.[1] 1995년에 도입된 371~377편성은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지축~대화 구간 개통 및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다. 이후 1996년에 378~383편성(1차 증차분), 1997년에 384~386편성(2차 증차분)이 추가로 도입되었다.

1995년 11월 24일, 374편성이 시운전 중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미작동 상태에서 서행 운행을 하지 않아 지축차량기지에 입고하던 377편성과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일산선 전동차 추돌 사고)

2022년부터 2024년 6월까지 노후화로 인해 순차적으로 운행이 중단되고 폐차되었다. 2022년 9월, 2차 증차분인 384편성은 차량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 385~3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로 영구 휴차 및 차적 삭제, 결번 처리 후 2022년 12월에 반출 및 폐차 매각되었다. 2023년 8월부터 2024년 3월까지 379~381편성을 제외한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379~381편성 또한 CCTV 설치 예정이 없어 2024년 6월 모든 편성이 퇴역하였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71 편성1995년2023년철도청 최초의 직류 전용 전동차이다.
372 편성
373 편성KTCS-M 시범 개조 차량이다.
374 편성시운전 도중 추돌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375 편성
376 편성
377 편성시운전 도중 추돌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378 편성1996년2024년
379 편성
380 편성
381 편성
382 편성2023년
383 편성2024년
384 편성1997년2022년
385 편성
386 편성



371~386편성은 일본 미쓰비시 전기인버터 장치를 사용했으며, 여자(勵磁)음은 서울 지하철 6000호대나 세이부 2000계의 VVVF 차량과 비슷한 소리를 낸다. 편성은 5M5T이며, T차 T1에 보조 전원 장치 (정지형 인버터)와 공기 압축기 및 축전지가 설치되어 있다. 팬터그래프는 5량의 M차 모두에 2기씩 탑재하여 10기 모두를 올려 운행한다.

이 차량은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차량 중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그룹인 '제1세대 차량'에 해당하지만, 차체 및 설계 등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이나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1차분과 거의 동일하며, 세이부 철도 6000계와 유사한 전면을 가지고 있다.

2. 2. 2. 2세대 (2022년 ~ 2023년)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1~378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13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5, 6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4차 도입분 등을 기반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었다.[1] 행선안내기와 열번표시기가 기존 구형 3색 LED에서 신형 7색 LED로 바뀌었고, 객차 간 통로문이 제거되었으며, 객실 중앙 좌석이 기존 7석에서 6석 플라스틱 의자로 변경되었다. 또한 차내 LCD 표출 방식도 개정되었다. 해당 편성들부터 신도색이 적용되었으며, 배장기가 제거되었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87 편성2022년운행 중
388 편성운행 중
389 편성운행 중
390 편성운행 중
391 편성운행 중
392 편성운행 중
393 편성운행 중
394 편성2023년운행 중


2. 2. 3. 3세대 (2022년 ~ 2024년)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으며,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5차분을 기반으로 한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미쓰비시 기반 우진산전 IGBT가 장착되었으며, 야마노테 선에서 운행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5계 전동차와 비슷한 구동음을 낸다.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되었으며, 편성번호는 운전실 측면 앞쪽에 표시된다.[1]

368~370, 395~399편성이 이에 해당되며, 도입 시기와 비고는 다음과 같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68 편성2024년운행 중
369 편성운행 중
370 편성운행 중
395 편성2022년운행 중
396 편성2023년운행 중
397 편성운행 중
398 편성운행 중
399 편성운행 중


3. 기술적 특징

1차분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101~106편성),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401~409, 451~463편성)과 기본적인 사양이 같다.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로 10km/h 더 높으며, 한국철도공사 승무원이 운용하기 때문에 다른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응답성 및 가속성에 최대한 비슷하도록 기어비를 조정했다. 하지만, 체감상 기어비 차이는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20여 년 동안 서울교통공사에서 별도로 관리하여 기어비가 원래 값에서 많이 변경되었을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차내에는 역 통과 방지 장치가 설치되었지만 사용하지는 않는다. TGIS는 1비트 화면에서 4비트 TGIS로 새로 변경되었으며, 레이아웃은 그대로이지만 기능들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되었다.

371~386편성은 일본 미쓰비시 전기인버터 장치를 사용했으며, 여자음은 서울 지하철 6000호대나 세이부 2000계 VVVF 차량과 비슷한 소리를 낸다. 편성은 5M5T이며, T차 T1에 보조 전원 장치 (정지형 인버터)와 공기 압축기 및 축전지가 설치되어 있다.[1] 팬터그래프는 5량의 M차 모두에 2기씩 탑재하여 10기 모두를 올려 운행한다.

2, 3차분은 우진산전이 제조를 담당했다. 395~399편성, 368~370편성이 해당되며, 평평한 정면이 특징인 "큐브"라는 애칭이 붙은 5세대 차량으로 분류된다. 311000호대 14/15차와 동일한 설계를 채용했으며, 차체는 이중 피부 구조의 알루미늄 합금 차체이다. 직류 구간 전용 차량이지만, 교류 전철화 대응 준비 공사가 된 상태로 제조되었다.[2]

차량 번호, 제작 연도, 차량 형태, 탑재 기기 등은 아래 표와 같다.

호차12345678910제작 연도차량 형태
형식3000호대3100호대3200호대3300호대3400호대3500호대3600호대3700호대3800호대3900호대
구분TcM'M'TM'T1TM'M'Tc
탑재 기기SIV, CP, BTVVVFVVVFVVVFSIV, CP, BTVVVFVVVFSIV, CP, BT
차량 번호30713171327133713471357136713771387139711995년1차분
3072317232723372347235723672377238723972
3073317332733373347335733673377338733973
3074317432743374347435743674377438743974
3075317532753375347535753675377538753975
3076317632763376347635763676377638763976
3077317732773377347735773677377738773977
30783178327833783478357836783778387839781996년
3079317932793379347935793679377938793979
3080318032803380348035803680378038803980
3081318132813381348135813681378138813981
3082318232823382348235823682378238823982
3083318332833383348335833683378338833983
30843184328433843484358436843784388439841997년
3085318532853385348535853685378538853985
3086318632863386348635863686378638863986
30873187328733873487358736873787388739872022년2차분
3088318832883388348835883688378838883988
3089318932893389348935893689378938893989
3090319032903390349035903690379038903990
3091319132913391349135913691379138913991
3092319232923392349235923692379238923992
3093319332933393349335933693379338933993
30943194329433943494359436943794389439942023년
30953195329533953495359536953795389539952022년3차분
30963196329633963496359636963796389639962023년
3097319732973397349735973697379738973997
3098319832983398349835983698379838983998
3099319932993399349935993699379938993999
3068316832683368346835683668376838683968
3069316932693369346935693669376938693969
3070317032703370347035703670377038703970




3. 1. 제어 방식

1차분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101~106편성),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401~409, 451~463편성)과 기본 사양이 동일하다.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로 10km/h 더 높으며, 한국철도공사 승무원이 운용하므로 다른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응답성 및 가속성에 최대한 비슷하도록 기어비가 조정되었다. 그러나 기어비 차이는 체감상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20여 년간 서울교통공사에서 별도로 관리하여 기어비가 원래 값에서 많이 변경되었을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역 통과 방지 장치가 설치되었으나 사용하지 않는다. TGIS는 1비트 화면에서 4비트 TGIS로 변경되었으며, 레이아웃은 그대로지만 기능이 다양하게 업그레이드되었다.

2007년 수도권 전철 3호선 모든 전동차의 음성 방송 장치는 음질 개선을 위해 기존 아날로그 ROM 방식에서 디지털 MP3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방송 장치만 개량되었고 스피커는 개량되지 않았다. 현재 일부 차량의 스피커가 변경되었으나, 경고음은 장착되지 않았다가 모든 차량에 경고음이 변경되었다. 377~384편성에는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 내연 기준에 따라 2005년 375~376, 379, 381, 385~386편성이 불연재 기준에 맞게 개조되었고, 2006년에는 개조받지 않은 나머지 편성도 변경되었다. 교체 사업은 SLS중공업이 참여했으며, 코레일 표준 시트가 적용되었다. 한국철도공사 CI 변경에 따라 2005년 리뉴얼 받은 차량부터 철도공사 신 CI 도색이 적용되어 2006년까지 전 차량의 도색 변경이 완료되었다. 색상은 주황색-군청색 계통으로 변경되었으며, 한국철도공사에서 도색 원본을 보내 서울교통공사에서 수탁하는 방식으로 도색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와 동시에 보수성이 떨어진 전면 측면 행선 표시 장치(DI)는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차내 LED 전광판 표출 방식 개선도 동시에 이루어졌다.

3. 2. 편성 구성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원래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이지만, 직류 전용 차량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지축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의 통합 관리를 위해 371~399의 4자리 편성 번호를 사용한다. 2011년 한국철도공사의 광역전철 차호가 300000호대로 변경되었으나, 서울교통공사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예외적으로 기존 차호를 유지한다.[1]

368~370, 387~399편성은 지축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하는 10량 편성이다.[1]

3. 2. 1. 1차분



371편성 - 386편성이 이 차량 형태이다. 인버터 장치는 일본미쓰비시 전기 제품이 사용되었으며, 여자(勵磁)음은 서울 지하철 6000호대나 세이부 2000계의 VVVF 차량과 비슷한 소리를 낸다. 편성은 5M5T이며, T차 T1에 보조 전원 장치 (정지형 인버터)와 공기 압축기 및 축전지가 설치되어 있다.[1] 팬터그래프는 5량의 M차 모두에 2기씩 탑재하여 10기 모두를 올려 운행한다.

본 차량은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차량 중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그룹인 '제1세대 차량'에 위치한다.[1] 차체 및 설계 등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이나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1차분과 거의 동일하며, 세이부 철도 6000계와 유사한 전면을 가지고 있다. 당초에는 스테인리스 차체에 빨간색과 파란색의 가는 띠가 둘러져 있어, 도영 지하철 6300형을 연상시키는 컬러링이었으나, 현재는 띠 교체로 노선 색상에 맞춘 주황색과 파란색을 채택했다.

10량 1편성(5M 5T)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30XXTc (SIV, CM, BAT)
31XXM' (PAN, C/I)
32XXM' (PAN, C/I)
33XXT
34XXM' (PAN, C/I)
35XXT1 (SIV, CM, BAT)
36XXT
37XXM' (PAN, C/I)
38XXM' (PAN, C/I)
39XXTc (SIV, CM, BAT)


  • M'차: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제어기기 탑재
  • Tc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탑재


내구 연한이 25년 이상 지난 현재, 노후화가 진행되어 2차분과 3차분에 의해 순차적으로 교체 및 폐차가 진행되었으며, 2024년 6월 21일을 기점으로 모든 차량이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3. 2. 2. 2, 3차분

368~370, 387~399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었다.[1] 10량 1편성 (5M 5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적인 차량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30XX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XXM(주변환장치)
32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XXT(무동력객차)
34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5XX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6XXT(무동력객차)
37XXM(주변환장치)
38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9XX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차분(387~394편성)''' 및 '''3차분(395~399, 368~370편성)'''


우진산전이 제조를 담당했으며, 2022년부터 2023년 사이에 도입되었다. 평평한 정면이 특징인 "큐브"라는 애칭이 붙은 5세대 차량으로 분류된다. 311000호대 14/15차와 동일한 설계를 채용했으며, 차체는 이중피부구조의 알루미늄 합금 차체이다. 직류 구간 전용 차량이지만, 교류 전철화 대응 준비 공사가 된 상태로 제조되었다.[2]

2차분과 3차분은 시운전을 시작한 후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되어 기동 가속음의 피치가 낮아졌다. 당초 2022년 7월부터 시운전 예정이었으나,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4차분의 납차 지연으로 인해 2022년 12월에 갑종 수송되었다.

3. 3. 기타 기술 사양

1차분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01~106편성,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401~409, 451~463편성과 기본적인 사양이 같다.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로 10km/h 더 높으며, 한국철도공사 승무원이 운용하기 때문에 다른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응답성 및 가속성에 최대한 비슷하도록 기어비를 조정했다. 하지만, 체감상 기어비 차이는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20여 년 동안 서울교통공사에서 별도로 관리를 받아 기어비가 원래 값에서 많이 변경되었을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차내에는 역 통과 방지 장치가 설치되었지만 사용하지는 않는다. TGIS는 1비트 화면에서 4비트 TGIS로 새로 변경되었으며, 레이아웃은 그대로이지만 기능들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되었다.

371~386편성은 일본 미쓰비시 전기인버터 장치를 사용했으며, 여자(勵磁)음은 서울 지하철 6000호대나 세이부 2000계 VVVF 차량과 비슷한 소리를 낸다. 편성은 5M5T이며, T차 T1에 보조 전원 장치 (정지형 인버터)와 공기 압축기 및 축전지가 설치되어 있다. 팬터그래프는 5량의 M차 모두에 2기씩 탑재하여 10기 모두를 올려 운행한다.[1]

2, 3차분은 우진산전이 제조를 담당했다. 395~399편성, 368~370편성이 해당되며, 평평한 정면이 특징인 "큐브"라는 애칭이 붙은 5세대 차량으로 분류된다. 311000호대 14/15차와 동일한 설계를 채용했으며, 차체는 이중피부구조의 알루미늄 합금 차체이다. 직류 구간 전용 차량이지만, 교류 전철화 대응 준비 공사가 된 상태로 제조되었다.[2]

차량 번호, 제작 연도, 차량 형태, 탑재 기기 등은 아래 표와 같다.

호차12345678910제작년도차량 형태
형식3000호대3100호대3200호대3300호대3400호대3500호대3600호대3700호대3800호대3900호대
구분TcM'M'TM'T1TM'M'Tc
탑재 기기SIV,CP,BTVVVFVVVFVVVFSIV,CP,BTVVVFVVVFSIV,CP,BT
차량 번호30713171327133713471357136713771387139711995년1차분
3072317232723372347235723672377238723972
3073317332733373347335733673377338733973
3074317432743374347435743674377438743974
3075317532753375347535753675377538753975
3076317632763376347635763676377638763976
3077317732773377347735773677377738773977
30783178327833783478357836783778387839781996년
3079317932793379347935793679377938793979
3080318032803380348035803680378038803980
3081318132813381348135813681378138813981
3082318232823382348235823682378238823982
3083318332833383348335833683378338833983
30843184328433843484358436843784388439841997년
3085318532853385348535853685378538853985
3086318632863386348635863686378638863986
30873187328733873487358736873787388739872022년2차분
3088318832883388348835883688378838883988
3089318932893389348935893689378938893989
3090319032903390349035903690379038903990
3091319132913391349135913691379138913991
3092319232923392349235923692379238923992
3093319332933393349335933693379338933993
30943194329433943494359436943794389439942023년
30953195329533953495359536953795389539952022년3차분
30963196329633963496359636963796389639962023년
3097319732973397349735973697379738973997
3098319832983398349835983698379838983998
3099319932993399349935993699379938993999
3068316832683368346835683668376838683968
3069316932693369346935693669376938693969
3070317032703370347035703670377038703970




4. 개량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이 강화되면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모든 차량의 내장재가 불연재로 교체되었다. 이 사업에는 SLS중공업이 참여했으며, 코레일 표준 시트가 적용되었다.[1]

내장재 교체와 함께 한국철도공사 CI 변경에 따라 주황색-군청색 계통의 새로운 CI 도색이 적용되었고, 전면과 측면 행선 표시 장치는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바뀌었다. 차내 LED 전광판 표출 방식도 개선되었다.[1]

2007년에는 수도권 전철 3호선 모든 전동차의 음성 방송 장치가 음질 개선을 위해 기존 아날로그 ROM 방식에서 디지털 MP3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스피커는 개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일부 차량의 스피커가 변경되었으나, 처음에는 경고음이 없었다가 나중에 모든 차량에 경고음이 추가되었다.[1]

377~384편성에는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2] 측면 코레일 로고는 'Let's Korail' 스티커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다른 코레일 열차와 같이 코레일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하였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측면 LED는 소등되었다.

4. 1. 내장재 교체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이 강화되면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모든 차량의 내장재가 불연재로 교체되었다.[1] 이 사업에는 SLS중공업이 참여했으며, 코레일 표준 시트가 적용되었다.[1]

내장재 교체와 함께 한국철도공사의 CI 변경에 따라 주황색-군청색 계통의 새로운 CI 도색이 적용되었고, 전면과 측면의 행선 표시 장치는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교체되었다.[1] 차내 LED 전광판의 표출 방식도 개선되었다.[1]

4. 2. 음성 방송 장치

2007년수도권 전철 3호선 모든 전동차의 음성 방송 장치가 음질 개선을 위해 기존 아날로그 ROM 방식에서 디지털 MP3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방송 장치만 개량되었고, 스피커는 개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일부 차량의 스피커가 변경되었으나, 처음에는 경고음이 장착되지 않았다가 나중에 모든 차량에 경고음이 변경되었다.[1]

4. 3. 기타

377~384편성에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2] 측면 코레일 로고는 'Let's Korail' 스티커로 모두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다른 코레일 열차와 같이 코레일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하였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측면 LED는 소등되었다.

5. 현황 및 운행 구간

서울 지하철 3호선 노선도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2세대 차량(387~394편성)과 3세대 차량(368~370, 395~399편성)이다. 2세대 차량은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IGBT(현대로템 IPM)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3세대 차량은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IGBT(우진산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1][2]

1세대 차량(371~386편성)은 현대정공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GTO(미쓰비시) 제어 방식을 사용하였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노후화 및 내구 연한 만료로 인해 순차적으로 운행이 중단되고 폐차되었다.

5. 1. 현황

'''1세대 차량'''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도입된 371~386편성은 현대정공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GTO(미쓰비시)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2022년 9월, 384편성은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으로, 385~3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로 영구 휴차 후 차적 삭제 및 폐차되었다. 2023년 8월부터 2024년 3월까지 379~381편성을 제외한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379~381편성 또한 CCTV 설치 예정이 없어 2024년 6월에 전량 퇴역하였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71 편성1995년2023년철도청 최초의 직류 전용 전동차이다.
372 편성
373 편성KTCS-M 시범 개조 차량이다.
374 편성시운전 도중 추돌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375 편성
376 편성
377 편성시운전 도중 추돌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378 편성1996년2024년
379 편성
380 편성
381 편성
382 편성2023년
383 편성2024년
384 편성1997년2022년
385 편성
386 편성



'''2세대 차량'''

2022년에 도입된 387~394편성은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IGBT(현대로템 IPM)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87 편성2022년운행 중
388 편성
389 편성
390 편성
391 편성
392 편성
393 편성
394 편성2023년



'''3세대 차량'''

2022년부터 2024년에 걸쳐 도입된 368~370, 395~399편성은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IGBT(우진산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68 편성2024년운행 중
369 편성
370 편성
395 편성2022년
396 편성2023년
397 편성
398 편성
399 편성

[1][2]

5. 2. 운행 구간

6. 사건/사고

1995년 11월 24일, 수서 방향 시운전을 하던 374편성의 3074호가 시운전을 마치고 지축차량기지에 입고하다가 서행 운행 중이던 377편성의 3977호와 충돌했다. 이 사고는 374편성 기관사가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행 운행을 하지 않아 발생했다.[1]

7. 비판 및 논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특히 1세대 차량의 노후화 및 안전 문제와 2, 3세대 신규 차량 도입 지연은 주요 문제로 지적된다. 1세대 차량은 1995년부터 1997년 사이에 도입되어 2024년까지 운행되었으나, 노후화가 심각해져 교체 및 폐차가 진행되었다. 신규 차량 도입 지연은 시민들의 불편을 가중시켰으며, 철도 공공성 강화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졌다.[2]

7. 1. 1세대 차량 노후화 및 안전 문제

1세대 차량(371~386편성)은 1995년부터 1997년 사이에 현대정공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GTO(미쓰비시) 제어 방식을 채택했다.[1] 이 차량들은 1996년 일산선 개통 및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다.

2022년에는 384편성이 극심한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으로, 385~3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로 영구 휴차되었다.[1] 이들은 2022년 10월에 차적 삭제 및 결번 처리 후, 12월에 반출 및 폐차 매각되었다. 2023년 8월부터 2024년 3월까지 379~381편성을 제외한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379~381편성 또한 CCTV 설치 예정이 없어 2024년 6월에 전 편성이 퇴역하였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71~377편성1995년2023년철도청 최초의 직류 전용 전동차, 시운전 중 추돌사고(374, 377편성), KTCS-M 시범 개조(373편성)
378, 382, 383편성1996년2023년 ~ 2024년
379~381편성1996년2024년
384~386편성1997년2022년극심한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 내구 연한 만료로 영구 휴차



1세대 차량은 내구 연한 25년이 지나 노후화가 심각해져 2차분과 3차분에 의해 순차적으로 교체 및 폐차가 진행되었으며, 2024년 6월 21일을 기점으로 모든 차량이 운행에서 제외되었다.[1]

7. 2. 2, 3세대 신규 차량 도입 지연

1세대 차량의 노후화 문제에도 불구하고, 2, 3세대 신규 차량의 도입이 지연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었다. 특히, 2세대 차량은 2023년 3월부터 운행 예정이었으나, 8월까지 영업 운전을 시작하지 못해 차량 부족 문제가 발생했다. 3세대 차량 역시 당초 계획보다 납차가 지연되면서, 1세대 차량의 운행 중단과 맞물려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 운행에 차질을 빚었다.[2] 이러한 신규 차량 도입 지연은,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한 철도 공공성 강화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진산전이 제조한 3세대 차량(395~399편성, 368~370편성)은 2022년 7월부터 시운전 예정이었으나,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의 납차 지연으로 2022년 12월에 갑종 수송되었다. 2023년에는 2차분 8개 편성(387~394편성)과 3차분 8개 편성(395~399편성, 368~370편성) 등 총 16개 편성 160량을 도입하여 1차분을 모두 교체할 예정이었으며, 2024년 6월 21일부로 1차분의 영업 운행이 종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https://namu.wiki/w/[...] 2024-06-23
[2] 웹사이트 3큐브 지붕이 독특한점 -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 2024-06-23
[3] 문서 미쓰비시 MAP-204-D15V41형
[4] 문서 미쓰비시 MB-5052-A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